최신 원고

  • 지능화 뿌리기술
  • 인간중심생산기술
  • 지속가능기술
  • Special Issue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2025;2(2):
한국 제조산업의 새로운 철학, 밸류팩처링

이상목*, †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Vol. 2, No. 2, pp. 2-20.

초록

지난 50여 년간 눈부신 발전을 이루며 대한민국의 경제를 이끌어왔던 한국 제조업, 또 한 번의 50년간 지속 성장을 위해 이제는 변화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미국의 트럼프 2.0 시대를 Pivot점으로 미중 패권 구도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생태계는 세계화를 넘어 탈세계화의 시대로 향하는 출발점으로 인식된다. 인구구조, 자연환경, 패권기반 공급망, 소비자 개인화 욕구 등 4대 뉴 노멀 변화가 이를 부추기는 형국이다. 미국의 관세정책을 무기로 한 자국으로의 제조업 회귀전략 및 안보와 산업경제 논리의 일체화, 중국제조 2025 정책 이후 중국의 새로운 제조산업 캐치프레이즈인 ‘신질 생산력’을 화두로 중국 정부 지휘 아래 시장탈피 과잉생산, 초저가 밀어내기, 생산설비 과대구축 전략과 딥시크, 양자컴퓨팅 등을 필두로 한 첨단산업 위력확보 시동, 또 다시 유럽의 병자로 전락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독일의 Industrie 5.0 전략, 협동로봇과 산업AI로 비상을 꿈꾸는 Japan Society 5.0의 일본 등, 4개의 완전 제조국의 도전에 직면한 한국의 제조업 국내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지속가능 발전을 고민해 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이제는 지금까지의 제조업의 세계 시장 확보 전략 및 관행적 먹고살기식 활동으로 발전해 온 기존의 틀을 벗어날 때임을 여러 채널을 통해 누구나 알고 있는 상황이 되었다. 이제는 한국 제조 산업을 이끌 새로운 철학을 도출하여 이를 근거로 한 산업제조 활동을 영위해야 할 시점이다

키워드

생산기술 대전환 기반 마련을 위한 K-PI 개발

조재현*, † , 김현태**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업협력본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업성장지원실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Vol. 2, No. 2, pp. 21-25.

초록

코로나19 팬데믹과 미·중 기술패권 경쟁으로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며, 중소·중견 기업의 혁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기존 파트너기업 지원 제도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K-PI(KITECH Partnership Index)를 개발하였다. K-PI는 기업의 협력 의지, 보유 역량, 사회적 기여도를 평가하여 혁신기업, 성장기업, 유망기업으로 유형화하여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기업역량 평가 모델이다. 혁신기업은 대형 R&D 및 기술 혁신 지원을, 성장기업은 협력 활성화 및 실증 지원을, 유망기업은 기술 자문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특화지원을 제공 중 이다. 이를 통해 중소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향후 K-PI 기반의 고도화된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속적인 혁신 성장을 지원할 예정이다.

키워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미래 첨단 제조 및 생산 이머징 기술 분석

김유빈*, †, 김필성**, 최재경***

* 명지대학교 반도체공학과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미래전략본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관정책실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Vol. 2, No. 2, pp. 26-38.

초록

이머징 이슈(emerging issue) 연구는 과학기술(Science & Technology) 분야에서 기술 진화를 추적, 예측하고자 문헌(논문, 특허 등)을 기반으로 떠오르거나, 유행하는 이슈를 찾기 위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잠재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제조기업에 향후 큰 파급력을 가질 이머징 이슈를 탐색, 이머징 기술을 도출하였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발표한 미래생산기술 6대 핵심기술 분야와의 매칭을 통해 향후 연구개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해당 내용은 각 분야의 연구 뿐만 아니라 향후 생기원의 기업협력 연구개발 등을 통해 우리 제조업에 큰 파급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