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남인우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저자 : 배영환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인간중심생산기술 2025;2(3):87-91. Published online: Jul, 1, 2025
지속 가능한 미래모빌리티용 소재⦁부품은 자동차 산업 생태계 전환과 선진시장의 환경규제 및 무역장벽 강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능화, 친환경화, 경량화, 기능화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탄소중립, 친환경, 자원 재활용과 같이 환경 문제와 관련된 친환경 소재⦁부품 개발이 시장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자동차 관련규제 및 무역장벽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미래 모빌리티는 SDV(Software-Defined Vehicle)기반의 자율주행 기술과 전력기반의 BEV(Battery Electric Vehicle)가 결합하면서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미래사회를 구현할 것으로 예상된다. 삶의 편리함에서 나아가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과 혁신적인 주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용 소재⦁부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EU를 중심으로 차량의 순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ELV(End-of-Life-Vehicle Direction) 규정이 제안되고, 플라스틱 재생원료(r-plastic) 목표, 재활용 원자재 사용 의무, 차량순환성 여권제도 등의 세부 규정이 단계적으로 발효 예정인 상황이다. 국가 주력산업인 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자원 순환생태계 구축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강화되는 선진시장의 환경규제와 무역장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동차 자원 순환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리사이클, 바이오 소재, 에너지 효율성 관련 원천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래차 소재⦁부품의 글로벌 공급망 환경변화와 주요국의 정책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내 완성차 업체와 주요 중소협력업체, 관련 학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대응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고에서는 미래모빌리티 분야 섬유기반 자동차 소재⦁부품의 정의, 등장 배경, 시장 전망, 개발 사례를 정리하여 전반적인 기술개발 동향을 공유하고자 한다.
키워드 미래모빌리티, 탄소중립, 자동차 내장재, ELVR, 자동차 순환경제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