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기술 2025;2(2):54-59. Published online: Apr, 1, 2025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40%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UN에 제출하였다. 온실가스 및 미세 먼지 배출 저감 정책으로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보급이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2015년부터 수송용 연료 혼합이 의무화되어 2015년 에는 혼합의무 비율이 2.5%였으나 2021년 7월에는 3.5%로 상향되었고, 2030년까지 혼합의무 비율이 5%로 증가할 예정이다. 바이오 연료에서 액체 연료로 동·식물성 유지를 변화시킨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 중유가 있고, 바이오디젤의 주원료는 팜유 및 폐식용유이다. 바이오디젤은 석유계 디젤보다 대기오염 물질 배출이 적고 생분해성을 가지는 환경 친화적 경유 대체 연료이다. 본 고에서는 식물성 유지를 이용한 바이오 디젤 생산 공정에 대하여 간략히 기술하였다.
키워드 식물성유지, 친환경, 바이오디젤, 온실가스, 탄소중립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