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안용태

안용태
김현종
  • 안용태
  • 김현종
Tel -
Email -
SNS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수석연구원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

저자 : 김현종

안용태
김현종
  • 안용태
  • 김현종
Tel -
Email -
SNS
-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수석연구원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 -

활동내역

  • -

상세 보기

  •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 지능화뿌리기술
  • Volume 2(2); 2025
  • Article

지능화뿌리기술 2025;2(2):54-67. Published online: Apr, 1, 2025

PDF

뿌리산업의 산업전환 수요조사 결과와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 안용태*, † , 김현종**
안용태
김현종
  • 안용태
  • 김현종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화뿌리기술연구소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뿌리산업정책실 / 수석연구원 / ytan@kitech.re.kr / 교신저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화뿌리기술연구소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소장실 / 수석연구원 / hjkim23@kitech.re.kr
초록

뿌리산업은 제조업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기반산업으로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6대 기반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최근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친환경 정책 등으로 인해 산업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면서 뿌리산업도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2020년 7월 “뿌리4.0 경쟁력 강화 마스터플랜”을 발표하고, 뿌리산업의 범위를 기존 6개 업종에서 14개 업종으로 확대하는 등 산업 구조 개편을 추진 한 바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력을 높이고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소재 다원화 및 지능화 공정기술 등을 확보하여 뿌리산업을 미래형 구조로 전환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뿌리산업은 여전히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낮은 영업이익으로 기술혁신을 위한 R&D 투자가 저조하여 국내외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자체 대응력에 한계가 존재하고 설비투자 부족으로 생산설비 노후화, 디지털 전환이 부진하여 생산성이 정체되고, 원자재 가격 상승, 안전·환경 규제 비용 상승 등의 문제도 산업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뿌리산업의 산업전환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기반한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뿌리산업의 산업전환 수요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뿌리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키워드 뿌리산업; 산업전환; 수요조사; 직무교육; 교육훈련

댓글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로그인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