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율희

김율희
강이승
  • 김율희
  • 강이승
Tel -
Email dbfgml1116@kitech.re.kr
SNS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학생연구원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 -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

저자 : 강이승

김율희
강이승
  • 김율희
  • 강이승
Tel -
Email -
SNS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수석연구원(보)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

상세 보기

  •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 지능화뿌리기술
  • Volume 2(4); 2025
  • Article

지능화뿌리기술 2025;2(4):22-26. Published online: Oct, 1, 2025

PDF

고농도 몰리브덴 용액 내 몰리브덴 회수율 향상을 위한 아민 기능화 이온교환수지 개발

  • 김율희* , 강이승**, †
김율희
강이승
  • 김율희
  • 강이승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 희소금속산업실 / 학생연구원 / dbfgml1116@kitech.re.kr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희소금속센터 희소금속산업실 / 수석연구원(보) / leeseung@kitech.re.kr / 교신저자
초록

몰리브덴(Molybdenum)은 합금, 촉매, 전자 소재, 화학 공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핵심 희소금속이다. 특히 합금에 첨가할 경우, 경도와 고온 안정성, 부식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합금 재료로서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몰리브덴의 국내 자원이 거의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자원을 활용한 몰리브덴 회수 및 재활용 기술의 필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몰리브덴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용매 추출, 화학적 침전법, 이온교환법 등이 있다. 이 중 이온교환수지를 활용한 습식 공정은 높은 선택성과 금속 이온에 대한 친화성, 그리고 재사용 가능성으로 인해 환경친화적이고 경제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유기용매를 최소화할 수 있고, 유해가스 발생이 없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기술로 평가된다. 하지만 산업 폐수나 반도체 공정수 등 몰리브덴 함량이 높은 폐액을 대상으로 할 경우, 기존 상용 이온교환수지로는 흡착 성능이 부족하여 회수 효율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용 음이온교환수지인 MP-62의 표면에 아민화 첨가제(Ethylenediamine, Trioctylamine)을 도입하여 아민 기능화(amino-functionalization)를 진행함으로써 흡착 사이트를 증가시키고 몰리브덴 흡착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키워드 몰리브덴, 아민 기능화, 이온교환수지, 재활용

댓글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로그인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