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송기형

송기형
이승준
  • 송기형
  • 이승준
Tel -
Email skhgood@kitech.re.kr
SNS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연구원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

저자 : 이승준

송기형
이승준
  • 송기형
  • 이승준
Tel 031-8040-6366
Email sjlee10@kitech.re.kr
SNS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수석연구원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

상세 보기

  •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 인간중심생산기술
  • Volume 2(4); 2025
  • Article

인간중심생산기술 2025;2(4):45-48. Published online: Oct, 1, 2025

PDF

디지털 트윈 기반의 로봇 교시 기술을 적용한 첨단로봇 활용 표준공정 모델 개발

  • 송기형*, † , 이승준**
송기형
이승준
  • 송기형
  • 이승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 지역산업혁신부문(제조로봇) / 연구원 / skhgood@kitech.re.kr / 교신저자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 지역산업혁신부문(제조로봇) / 수석연구원 / sjlee10@kitech.re.kr
초록

최근 산업현장에 로봇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로봇을 이용한 제조 공정의 자동화는 컨베이어 벨트 방식으로 대변되는 과거의 자동화 공정보다 공정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로봇을 활용한 생산 자동화 공정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및 실증 과제들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로봇을 도입하여 생산 공정을 자동화하려는 기업에 도움이 될 수 있다[1~3].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시스템의 초기 도입 이후에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도입 기업에서도 로봇 조작을 위한 업무 역량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로봇 교시 작업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인력을 보유하지 못한 중소기업의 경우 잦은 공정 변경 환경은 로봇 시스템 도입의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2021년 중소기업 기본 통계에 따르면 상시근로자 10인 미만의 기업체 수는 55.1만 개로 전체 제조업의 8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전문지를 통해 로봇 활용의 지속성 확보가 어려운 중소기업에서 공정 변경 시에 로봇의 작업 형태 변경을 위해 기업 외부의 원격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는 첨단로봇 활용 표준공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한 내용을 소개한다. 온라인 티칭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로봇의 교시 작업을 수행하는 형태의 개념을 제시하고,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기술 요소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테스트베드 구현을 통해 해당 기술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키워드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automation, Robot, Robot teaching

댓글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로그인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