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중심생산기술 2025;2(4):83-87. Published online: Oct, 1, 2025
최근 신설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22년 1월 시행)로 중대재해 및 안전사고 방지 대책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현대 산업은 기술 발전 및 산업화, 유해화학물질의 취급 및 유통량의 증가, 복잡해지는 장비로 인한 위험 요소 증가로 인해 사소한 안전사고부터 중대재해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위험 환경에 직면함에 따라, 근로자의 안전은 지키기 위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작업 현장 내 안전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국내 주요 화학산업단지들은 대부분 20년 이상 경과한 노후 설비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사고 발생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사고위험의 일상화, 안전 불감증 등으로 인해 지속, 반복적인 후진국형 화학물질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의 지속적인 노출은 질병을 유발하고 사망률이 매우 높아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유해 화학 물질 누출 사고에 대한 조기 예방 및 신속 대응이 중요하다. 효과적인 선제적 사고 대응을 위해서는 재난 정보 데이터 수집, 작업장 안전 감시, ICT, IoT 와 같은 신기술을 활용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안전관리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에 신속한 초기 대응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재난 안전 관리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키워드 스마트 안전 기술, 위험 상황 모니터링, IoT, 유해화학물질 검출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