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황준호

황준호
김준
  • 황준호
  • 김준
Tel -
Email -
SNS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연구원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

저자 : 김준

황준호
김준
  • 황준호
  • 김준
Tel -
Email -
SNS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수석연구원(보)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상세 보기

  •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 인간중심생산기술
  • Volume 2(4); 2025
  • Article

인간중심생산기술 2025;2(4):31-38. Published online: Oct, 1, 2025

PDF

국내 제조 데이터 거래 네트워크 분석

  • 황준호* , 김준**, †
황준호
김준
  • 황준호
  • 김준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산업융합센터 산업융합정책실 / 연구원 / junho@kitech.re.kr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간중심생산기술연구소 국가산업융합센터 산업융합정책실 / 선임연구원 / kimjune23@kitech.re.kr / 교신저자
초록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민국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을 통해 이루어진 제조 분야 데이터 거래 807건을 대상으로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 제조 데이터 거래 네트워크의 구조와 특징을 규명하였다. 연간 1,000엑사바이트 이상의 방대한 제조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조 데이터 거래는 양질의 데이터 부족, 데이터 가치 및 가격산정의 불합리성, 취약한 데이터 유통 등 여러 한계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공급기업 간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Louvain 클러스터링과 중심성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내 주요 주체와 거래 구조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공정 및 설계, 소비자 분석, 글로벌 진출, 제조 BI, 제품 브랜딩 등 5개 클러스터가 확인되었으며, NICE평가정보, 한국평가데이터, 나이스디앤비 등 기업정보 및 신용평가 전문기업이 네트워크의 허브 역할을, 일부 중소기업은 데이터 가공 및 중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제조 데이터 거래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 대·중소기업 상생형 구조 개선, 클러스터별 데이터 표준화, 글로벌 데이터 거래 확대, 허브기업 중심 민관 협력 등 정책적 방향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제조 데이터 생태계의 구조적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키워드 제조 데이터 거래, 소셜네트워크 분석, 데이터바우처, 중심성 분석, 데이터 생태계

댓글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로그인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