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이승재

이승재
  • 이승재
Tel -
Email -
SNS
  • 소 속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직 업-
  • 직 위기술원
  • 전문분야-
  • 세부분야-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

상세 보기

  • KITECH 생산기술 전문지 > 지능화뿌리기술
  • Volume 2(3); 2025
  • Article

지능화뿌리기술 2025;2(3):102-109. Published online: Jul, 1, 2025

PDF

국제정치경제학(IPE) 관점에서 본 한국 조선산업의 전략적 가치와 산업동맹의 함의

  • 이승재*, †
이승재
  • 이승재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화뿌리기술연구소 소재공급망연구부문 / 기술원 / thomas@kitech.re.kr / 교신저자
초록

2025년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자마자 미국 우선주의에서 시작된 전방위 산업변화 시도가 비우호국, 전통적 동맹국을 가리지 않고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중국과의 패권경쟁에서 균형적 우위를 유지하려는 최종적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국제관계의 균열과 재집합, 새로운 동맹 또는 비우호 관계의 설정은 불가피해 보인다. 이러한 국제정세의 급변화 속에서 잃을 수 있는 것들을 분석하며 침체의 우려를 표명하는 시각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격동 속에서 한국 산업은 전략산업의 재위치화를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중 조선업은 단순한 제조산업을 넘어 국제질서 재편기의 전략적 접점이 될 수 있다. 이 투고문에서는 미국의 재균형(rebalancing) 전략과 중국의 역균형(counterbalancing)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첨예하게 대립되는 구도를 다루었다. 그리고 그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행위자와 반응자의 관계에서 파생하는 산업적 필요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적 논리를 넘어서는 전략적 가치로서의 조선업을 분석하며, 국제정치학적 관점에서 의미를 설명하는 것으로 결론부를 마무리하였다. 현재 한국 산업은 기술 우위뿐 아니라 지정학적 연계 가능성을 고려한 전략산업 재정비에 나서야 하며, 그 중 조선업은 단순한 제조업의 범주를 넘어 국제질서 재편기에 한국의 핵심 전략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미국 중국 패권경쟁,재균형 전략,역균형 전략,조선산업

댓글0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로그인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