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저자의 다른 글 보기
저자 : 김호형
저자 소개
-
학력 / 경력 정보
활동내역
지능화뿌리기술 2025;2(3):51-56. Published online: Jul, 1, 2025
금속 소재는 높은 열전도도로 인해 차가운 촉감을 유발하며, 감성품질이 요구되는 응용 분야에서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Ni–Fe 합금 포일에 마이크로 텍스처를 설계하여 열전도도를 제어하고 온감을 구현한 다층 구조체를 개발하였다. 전주 공정을 통해 두께 30 ㎛, 비드 간격비 1:1 및 1:4의 텍스처 포일을 정밀 제작하고, 스크린 프린팅 기반 솔더링으로 6층 구조체를 형성하였다. 유한요소해석(FEA) 결과, 1:1 구조체는 2.089 W/m·K, 1:4 구조체는 0.049 W/m·K의 열전도도를 나타냈으며, 실측 결과는 각각 2.628 W/m·K, 0.349 W/m·K로 나타나 예측 경향과 일치하였다. 감각 인지 실험에서는 1:4 구조체가 테플론 및 폴리에스터와 유사한 따뜻한 촉감으로, 1:1 구조체는 대리석 수준의 차가운 촉감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구조 설계만으로 금속의 열전도도와 촉감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기술은 금속의 기계적 강점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 감성소재로 확장 가능함을 입증하였으며, 자동차 내장재, 프리미엄 가전 등 고부가가치 산업에서의 응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키워드 감성 소재, 전주 공정, 열전도도, 온감, Ni–Fe 합금
댓글0